생.활.의.양.식/旅行과自然

안데스/땅끝마을 우수아이아

ccttjj 2021. 7. 3. 07:02

 

 

 

-언덕위의 전망대-

 

** 시가지 북쪽 기슭에는 도시전체와 마젤란 해협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전망대(도로 변)가 있다.

 

-이 정 표-

 

** 전망대에 서 있는 이정표에는 몇 나라 도시의 이름이 걸려있다.

 남미에서 만난 몇 군데의 이정표는 계획에 의해 만들어

세운 것으로, 서울이 표시된 것을 보지 못했는데 이곳에서

 어렵사리 달아 놓은 듯한 "서울"표지를 볼 수가 있었다.

 

땅 끝(Fin del Mundo)마을 우수아이아(Ushuaia)

남위 55도를 북위로 비교하면 만주나 시베리아에 해당된다.

1832년 다윈이 항해한 비글해협(Canal Beagle)을 마주하고

뒤로는 마르티알 산(Cerro Martial)의 연봉을 볼 수있다. 남쪽 끝의

 사람들은 비글 해협에서 물고기. 목재벌채, 양치기 등으로

생계를 꾸려나가고 있다. 늘 바람은 거세고 기온은 낮으며 파도는 거칠다.

 

- 비글해협을 마주하고있는 땅 끝 마을-

 

- 시가지-

 

- 한인 동포 농장의 화훼단지-

 

**한국의 한 개척자가 채소와 화훼 농사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

 기후 조건을 가진 지구의 반대편 땅 끝 마을에 와서

이곳에는 알려지지 않은 비닐하우스 재배라는 새로운

농법으로 거대한 농장을 일구는데 성공하였다.

 

-채소가 자라고 있는 농장의 비닐 하우스-

 

** 과거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공수하여야 했던 대부분의

 채소를 한인동포 농장에서 독점 공급하기 시작했고

우수아이아의 모든 식당들이 동포농장의 생산물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.

그러나,

황무지에서 일군 성공을 뒤로한 채, 농장주는 미망인과 의대생

 아들을 남겨두고 개척의 길을 접고 암으로 세상을 떠난다.

 

60년대, 초창기의 비닐하우스 모습을 이곳에서 볼 수가 있었다.

 규격화된 강철 파이프 프레임을 공급받아 세우는

한국의 하우스 재배 농민과는 격차가 너무도 크고 개척자의

 노력이 어느정도였을 것이라는것을 실감할 수가 있다.

 

-땅 끝 기차(El Tren del Fin del Mundo) 驛舍 -

 

** 땅 끝 기차역은 띠에르라 델 후에고 국립공원내를 달리는 협궤관광열차이다.

원래 이 철도는 죄수들에 의해서 1910년 건설된 것으로 역에는

 건설당시의 사진자료와 정비공구, 시설들이 전시되어있다.

 

-역사 내부-

 

** 역사내 가운데 바닥에는 당시의 협궤레일과 바닥 유리상자속에 기차 바퀴가 전시되어있다.

사진의 왼쪽에는 당시의 죄수복장을 한 마네킹이 서있다.

 

- 발차 대기중인 땅 끝 열차-

 

- 간이역 Platform을 지나는 기차-

 

** 전체 구간은 간이역에서 한번 정차하고 천천히 운행하여 50분이 소요된다.

 

- 철로변 풍경-

 

** 철도의 건설목적이 벌채한 목재의 운반이었기 때문에 주변은 벌목후에 남은 등걸만 보인다.

 

- 종착 역-

 

- 종착역에서 내려 땅 끝을 향해 트래킹을 시작한다-

 

- 3번 국도 끝을 알리는 공원내 안내판-

 

안내판이 이르기를,

**국립공원(Parque Nacional) 띠에르라 델 후에고(Tierra del Fuego)

라파타이아 灣(BAHIA LAPATAIA)

아르헨티나 공화국(Republica Argentina)

여기는 3번 국도의 끝(Aqui finaliza la Ruta Nac. No 3)

부에노스아이레스 3,079km

알라스카 17,848km

 

- 3번 국도의 끝을 알리는 다른 안내판-

 

**티에르라 델 후에고 국립공원(Parque Nacional Tierra del Fuego)

은 196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으며,

630평방 km의 방대한 면적을 가진 공원이다.

서쪽으로는 칠레와 접하고 있고 남쪽은 비글 해협이다.

험준한 산, 강 호수, 깊은 계곡이 아름다운 산악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.

 

- 3번 국도의 끝에는 목책 전망대가 있다-

 

** 티에르라 델 후에고(Terra del Fuego)는 "불타는 대지"라는 의미로 마젤란이 이 지역을 항해할 때,

육지에서는 여러곳에 불타는 곳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지명이다.

 

- 전망대에서 보이는 남쪽 비글 해협-

 

** 땅끝이라지만 비글 해협 남쪽 바다는 수많은 섬들이

 놓여있는 다도해라서 탁 트인 남극바다는 보이지 않는다.

 

-마르티알 빙하(Glaciar Martial)-

 

**우수아이아의 뒤로 펼쳐진 험준한 산들이 마르티알산맥이다.

 최고봉도 1450m로 그리 높지 않지만 남위 55도인

이 땅에서는 그런 산에도 자그마한 빙하가 존재한다. 관광선 선착장에서

 15분 정도 거리에 빙하로 오르는 2인승 리프트가 있다.

 

- 비글 해협이 내려다 보이는 마르티알 산 리프트 종점 -

 

-수목 한계선 상의 나무들-

 

** 위의 사진들에서 보이듯이 수십m 아래까지 키 큰 나무들이 울창하던 산림이 수목한계선에 오면

나무가 모두 비틀어지고 지표면을 설설 기는듯이 고통스럽게 살아가고 있다.

 

-여름을 지나 눈이 거의 녹아버린 설산-

 

- 땅 끝 마을 우수아이아(Ushuaia fin del mundo) -

 

** 여객선과 유람선이 계류되어 있는 선착장 앞에 서 있는 간판.

 

- 선착장에 계류되어 있는 선박들-

 

-마을 뒤로 보이는 마르티알 산맥의 험준한 산들-

 

-비글해협 크루즈를 위하여 출항-

 

**동쪽의 대서양과 서쪽의 태평양을 잇는 수로이기도 하며,

 아르헨티나와 칠레의 국경이기도 한 비글 해협(Canal Beagle)은

진화론자인 찰스 다윈이 승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비글(Beagle)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.

 

- 작은 섬에 상륙한 크루즈 선-

 

** 크루즈가 무미건조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항해 중 잠시 작은섬에 관광객을 상륙시킨다.

 

- 섬에 상륙한 관광객들-

 

** 섬의 생태계를 관찰 하라는 호의 같지만 관찰할 대상도 없다.

 작은 관목조차 자라지않는 남극이 멀지않은 곳이기 때문이다.

단지 크루즈를 다채롭게 하면서 선박의 연료도 절감하려는 의도일 것이다.

 

- 다른 관광선도 상륙을 한다.-

 

- 주변 섬에 서식하는 가마우지-

 

- 물개 섬-

 

- 비글해협과 주변 설산들-

 

- 땅 끝 마을에서 여행을 끝내다-